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등 알아보기

by 파랑기타 2022. 11. 3.

청년층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2023년 하반기에 시행예정이라고 하는데요문재인 정부에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시행해 청년층으로부터 폭발적 인기를 끌었던 청년희망적금을 폐지하고 개편해서 시행하는 제도인데요. 기존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성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부터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정보

시행시기는 20236월경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청년층 약 306만 명을 대상으로

월 최대 70만원 씩 5년간 적립하면 4,200만 원의 원금에 이자까지 합해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적금상품입니다. 그리고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있다고 합니다.

 

가입금액  월 40만 원~70만 원

가입기간  5년 만기

혜택  정부가 납입액의 3~6%(소득구간에 따라지원)보태주고  비과세이자 붙는 방식 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격

 19~34(군복무 기간제외) 청년중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아래  2022년 가구 중위 소득표에서 해당하는 가구수를 찾아 확인

 

1인 가구는 중위소득의 180%3,500,661원보다 소득이 적어야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 2022년 가구 중위소득표

가구수 1인 2인 3인 4인 5인
기준중위소득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가구중위소득180% 3,500,661 5,868,000 7,550,461 9,217,944 10,844,127

 

                                                                                         

 

청년도약계좌 금리

시중은행 5년 만기 적금 금리에 가산금리 더하는 형태  

최근 금리 상승 고려 시 7~8% 수준예상기대

비과세 적용

참고 청년희망적금의 이자율 연 5%

 

예상이자

 

월 납입액이 70만 원이며 월 납입금액에 대해 6%의 기여금을 받고 5년 동안 6%의 연이자를

    지급받는 조건

 

납입원금  4,200만 원+이자 약 750만 원+ 기여금 250만 원 = 약 5,200만 원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한 이자는 비과세

 

 

기타 사항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의 중복가입과 갈아타기 여부에 대해 협의 중 

(정부에서 재정 지원하는 정책이므로 유사한 제도의 중복가입과 지원을 방지하는 쪽으로 예상)

 

 

지금까지 2023년 하반기에 시행될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지 못하신 분들은 청년도약계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셔서 목돈 마련하는데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당분간 시중금리는 오르는 추세이므로 적금 가입이 유리합니다. 안전하게 자산형성을 할 수 있고 비과세에 정부에서 지원금까지 주는 청년도약계좌를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